JCN 뉴스 >NEWS 다시보기

NEWS 다시보기

JCN NEWS 상세
정치
공론화위 "최종 결정은 정부가" (R)
송고시간2017/08/04 07:25



앵커멘트)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신고리 5,6호기의 최종 운명은 정부가 결정해야 한다고
못을 박았습니다.

공론화위의 이같은 결정은
당초 시민배심원단을 통한 결정을 수용하겠다던 정부 입장과
차이를 보인 것으로, 공론화위원회를 둘러싼 논란과 소송전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구현희 기잡니다.

기사 내용)
공론화위원회가 신고리 5,6호기의
영구 중단 여부는 정부가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공론화의 모든 과정은 공론화위가 주관은 하되
공론화위는 정부의 결정을 돕는 역할을 하겠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현장씽크) 김지형(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 위원장)
"공론화는 정부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에 관해서
최종적인 정책 결정을 하기 이전 단계에 이루어지는
의견 수렴 과정의 하나입니다."

또, 시민배심원단 대신 적극적인 찬반 의사를 지닌
시민대표참여단을 대상으로 ''''공론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씽크) 김지형(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 위원장)
"서로 다른 의견을 대표하는 100명 내지 500명 가량의 시민을
참여시켜서 심도있는 학습과 토론을 하게 합니다."

이를 위해 공론화위 내에
조사와 소통, 숙의, 법률 등 4개 분과를 구성하고
각 분과위원장도 선임했습니다.

당초, 시민배심원단의 결정을 따르겠다던 정부 입장과는
상반된 것으로, 최근 공론화위를 둘러싼 논란과 법적 소송이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녹취) 이상대 회장(서생면주민협의회)
"공론화위원회 자체를 인정 안하기 때문에 이해당사자인
우리의 얘기를 한 번도 들어본 적도 없고...
(공론화위원회)의 들러리가 될 생각 없습니다."

한편,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반대하는 한수원 노조와
주민, 시공사와 협력업체 등 천여명은
오늘(3일) 신고리 5,6호기 건설현장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습니다.

기자 스탠드업)
정부와 공론화위원회가
신고리 5,6호기의 최종 책임을 서로 떠넘기기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본격적인 공론화 과정도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JCN뉴스 구현희입니다.